얼마 전까지만 해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일상생활이 무너지고 힘들던 시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조금 나아져 일상을 되찾아 가고 있는데 또다시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여 방역당국이 긴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원숭이 두창 천연두' 바이러스로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새롭게 생겨난 바이러스가 아닌 이미 알려져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겐 위험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미한 증상을 동반하여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숭이 두창 천연두 바이러스란?
원숭이 두창은 천연두와 비슷한 계열의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풍토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이번이 처음 생겨난 병이 아닌 1958년 실험실 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됐는데 이로 인해 원숭이 두창이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인간에게서 감염된 사례는 1970년 콩코에서 첫 발병을 하게 되었고, 중앙아프리카 등에서 보고가 되었지만 대부분은 콩코에서 발병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원숭이 두창은 접촉으로 인해 전염이 되며 기도나 눈, 코, 입 그리고 손상된 피부 등을 통해 침투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숭이 두창 천연두 바이러스 증상?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의 증상은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천연두보다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며 발병 시 발열, 두통, 근육통, 피부발진 등 피로로 시작이 되며 원숭이 두창과 천연두의 증상 차이점으로는 원숭이 두창에 걸리면 림프절이 부풀어 오르는 림프절 병증을 일으키지만 천연두는 그렇지 않다는 점입니다
어떠한 바이러스가 그렇듯 원숭이 두창도 잠복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7일 ~ 14일 정도로 보이지만 5일 ~ 21일까지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원숭이 두창 천연두 바이러스 확산
질병관리청은 5월 22일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번져나가고 있다고 밝혔고 세계 13개국에서 79명의 확진자와 64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발생 보고가 되지는 않았지만 코로나 완화로 해외여행자의 증가와 긴 잠복기로 국내 유입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치료 및 예방
기존 발생했던 바이러스로 질병관리청은 2016년에 원숭이 두창 진단 검사법 시약 개발과 평가가 완료되었다며 혹시나 국내에 원숭이 두창이 유입되었을 때 신속히 환자를 감별하여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방이 우선입니다
・ 바이러스를 보유할 수 있는 동물과 접촉 피하기
・ 병든 동물과 접촉을 한 물질과의 접촉 피하기
・ 감염된 환자를 감염의 위험에 처할 수 있는 환자로부터 격리하기
・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과의 접촉 후 손을 깨끗이 씻고 위생 관리하기
◼︎ 예방 백신
아직까지 원숭이 두창에 대한 백신은 없지만 천연두 백신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면 교차면역 효과가 있어 85%의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현재 우리나라 사람 두창 백신 3,500만 명분을 비축하고 있다고 밝혔고, 원숭이 두창 백신과는 달라서 효과성 평가의 검토가 필요하고, 당장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발병하지는 않았지만 뉴스에서 자주 다루는 내용이니 만큼 관심이 많이 가고 있는데요
우선 우리가 할 수 있는 예방법으로 위생관리를 잘하며 무사히 지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